기사 메일전송
남부 유럽 철근 시장에서는 가격 하락세
  • 김규성
  • 등록 2024-01-26 20:56:49

기사수정
  • 선재 가격은 안정
유럽에서는 생산자들이 가격 인상을 시도하는 등 이탈리아 철근 시장의 혼란과 엇갈린 신호를 보고했지만 시장은 가격 상승을 지지하지 않았다. 이탈리아 철근 시장의 가격은 수요 약세와 구매자들의 약세 전망으로 인해 소폭 하락했다. 일주일 동안 이탈리아 철근 및 선재 시장의 활동은 계속 정체되었다.“현재 가격이 상당히 불안정...

본 기사는 유료회원 기사입니다. 유료회원 가입하시면 전문 열람이 가능합니다.

유료회원가입

회원가입 안내
  • (무료) 회원가입과 동일 방법으로 가입
  • 전화나 메일로 유료회원 가입 의사 통보
  • 1구좌 (아이디) 월 2만원, 법인구좌 5만원 (4구좌) / 10만원 (10구좌)
  • 매일 알림톡과 뉴스레터 송부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1. 베트남 Formosa Ha Tinh, 7월 HRC 국내 가격 인상 베트남 최대 철강 제조업체인 Formosa Ha Tinh(이하 포모사)이 Hoa Phat Group(이하 호아팟)의 가격 인상에 이어 HRC(열연 코일)의 국내 가격을 인상했다. 포모사는 5월 10일 비스킨패스 SAE1006 및 SS400 파이프 제작용 HRC에 대해 국내 고객을 대상으로 톤당 595605달러 CIF의 새로운 가격을 제시했다. 이는 4월 12일에 비해 1420달러 상승한 것이다. 스킨패스 SAE1...
  2. 중국, 베트남으로의 열연 오퍼 가격 인상 중국의 열간압연코일(HRC) 수입 가격은 베이징의 여러 자극책 발표로 인해 주 후반에 급등했다. 목요일, 중국 수출업체들은 베트남으로의 HRC 가격을 톤당 $10 인상했으며, 특히 Q195와 SAE1006 제품은 각각 톤당 $538 CFR 및 $560 CFR로 7월 선적을 제안했다. 금요일에도 이러한 제안 가격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고 내부 소식통은 전했다.이번 가격 인상...
  3. 베트남 열연, 8월부터 인도 수출 재개 2024년 5월의 어느 날, 인도의 뜨거운 태양 아래 철강 시장은 새로운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베트남의 철강 제조업체 포모사 하띤(Formosa Ha Tinh)이 8월부터 인도로의 철강 선적을 재개할 예정이며, 이는 5월에 수입 라이선스가 갱신된 이후 처음이다.8월에 인도로 선적될 약 6만에서 7만 톤의 열연강판이 톤당 590-595달러의 가격에 예약되었으...
  4. 6월 중국 열연 시장 전망: 수요 소폭 하락, 가격 약세 지속 예상 5월 동안 중국의 열연강판 가격은 3790-3880위안/톤 사이에서 변동하며 전체적으로 좁은 폭의 진동을 보였고, 5월 노동절 이후에는 시장 전반적으로 좁은 폭의 변동을 유지했다. 공급은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재고도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류 수요는 냉담해지고 있어 6월 열연강판 시장은 약세를 보일 것..
  5. 중국 열연 시장은 안정, 인도는 수출오퍼 보류 이번 주 중국의 HRC(등급 S235 및 S275) 수출 제안 가격이 중동 지역에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무역 활동의 부족으로 인해 제안 가격은 톤당 580-585달러(CFR UAE)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또한 일본의 HRC 수출 제안 가격도 중동 지역에서 톤당 580-590달러(CFR UAE)로 변동이 없었다. 이는 일본 내 수요가 저조하기 때문이다.상하이 선물 거래소(SHFE)SH...
  6. 중국열연은 베트남에서 점점 하락, 비과세 열연 오퍼수는 줄고 빗줄기가 여전히 이어지던 어느 날, 베트남의 항구 근처에서 한 철강 공장 직원인 민은 어두운 표정으로 HRC(열연코일) 적하 작업을 지켜보고 있었다. 중국의 HRC 가격이 하락하고 있었지만, 베트남 현지의 수요도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었다.“오늘 Q195 HRC의 가격이 $535/t CFR로 내려갔어요. 지난주보다 $10이나 낮아졌는데도, 여전히 거래가 ..
  7. [K-열연] 5월 열연강판 시장 '인상 노력'에도 불구, 시황 불안정 지속 5월 들어 국내 열연강판 유통업체들이 수익 악화에 대한 압박을 받으며 가격 인상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 다수의 유통업체가 공급가 인상을 논의 중이며, 이는 다음 주에 윤곽이 드러날 예정이다. 그러나 업계는 가격 인상을 견인할 만한 동력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특히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서는 5월 중하순 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