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인도 철강 가격은 침체된 시장에서 안정세 유지, 소폭의 수요 증가 예상
  • 편집국
  • 등록 2023-09-27 07:57:16
  • 수정 2023-09-27 08:43:49

기사수정
인도의 대형 철강사 Tier 1 공장은 최근 HRC과 철근 가격을 인상했다. 하지만, 빌렛, 스펀지 철과 IF 루트 철근 가격은 인하했다. 수요 개선에 대한 시장의 대비로 가격 상승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도 철강 종합 지수는 9월 22일로 끝난 주 동안 148.8포인트로 마감되었으며, 이는 일주일 전의 148.5포인트보다 소폭 0.2% 상승한 수치이다. 지수는 ...

회원(무료) 기사입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기사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회원가입 안내
  • 철강정보원 상단우측 회원가입
  • 연락처와 메일주소를 기입하면 알림톡(수시)과 뉴스레터(매일) 송부
  • 주소로 정기 간행물 등 송부 (추후)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1. [분석] 1-5월 세계 철강 생산, 인도만 증가 세계철강협회(worldsteel) 자료에 따르면 2024년 5월 세계 조강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억 6,510만 톤을 기록했다. 상위 5개 생산국 중 인도만이 2024년 1월-5월 동안 생산량이 증가한 반면, 상위 10개국 중 5개국은 같은 기간 동안 감소를 보였다.튀르키예는 19.8%의 가장 큰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한국은 6.3%의 가장 큰 하락을 보였다.중국...
  2. [초점] 중국의 철강 생산 감축 목표 논의 중국의 여러 성이 철강 생산 감축 목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특히 푸젠성은 2024년까지 철강 생산량을 350만 톤 줄일 계획을 이미 발표했다. 이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의 지시에 따라 각 성이 올해의 철강 생산 감축 목표를 제출한 결과이다. 현재 몇몇 성의 감축 목표는 다음과 같다: 푸젠성 - 350만 톤, 허베이성 - 1,500만~1,700만 톤, 산시성...
  3. [이슈] 냉연코일 가격 하락하는데, 전기아연도금 가격은 왜 높은가? 개요냉연코일은 전기아연도금판의 생산 원료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냉연코일을 전기아연도금판으로 가공하는 비용은 톤당 800위안이다. 현재 전기아연도금판과 냉연코일의 가격 차이는 1460위안/톤에 달한다. 냉연코일 가격은 계속 하락하는 반면, 전기아연도금판의 가격은 하락폭이 작다. 올해 철강 생산 기업의 이익이 크게 줄어드는 상...
  4. [분석] 중국 철강 시장에 찾아온 여름 한 해의 절반이 지나고 여름이 찾아왔다. 뜨거운 태양 아래, 또는 폭우로 인한 범람의 시기에 철강 시장도 새로운 계절을 맞이했다. 이 시기는 철강 시장에 있어 전통적인 비수기로,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 깨지기 쉽다. 이러한 비수기는 철강업계에 여러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철강 시장의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전망..
  5. [초점] 호주의 원료탄, 구매 관심 부족으로 폭락 최근 호주산 원료탄 가격이 구매 관심 부족으로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7월 선적분의 공급 부족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가격이 급락한 것입니다. 6월 21일, 한 무역회사는 호주산 프리미엄 중휘발성 경질 원료탄 40,000톤을 한국의 주요 철강사에 톤당 239달러(FOB)로 판매했다고 합니다. 이번 계약 가격을 반영하여 원료.
  6. [특집] 중국 철강 산업의 도전과 기회 중국의 철강 산업은 2024년 1월부터 5월까지 다양한 도전과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주요 지표들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였지만, 일부 긍정적인 신호도 있었다. 특히, 철강 수출의 증가가 철광석 수요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인프라 투자 감소와 부동산 시장의 침체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철강 생산과 수출의 동향2024년 1..
  7. [특집]중국의 부동산 위기와 제조업 둔화로 인한 철강 생산 감소 2023년 철강 생산 감소중국의 철강 생산량은 2020년 정점을 찍은 이후 2023년까지 4.3% 감소하여 10억 19백만 톤(Mt)을 기록했다. 이는 1996년 이후 최악의 3년간의 감소다. 철강 생산량은 대부분 국내 제조 및 건설 부문에 사용된다. 부동산 개발 부문의 위기와 제조업 둔화가 주요 원인이다.중국 철강 생산 추이1996년 이후 중국의 철강 생산량은 대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