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美 클리브랜드 스틸(CLF), 모든 판재 제품 가격 톤당 75달러 인상
  • 김규성
  • 등록 2022-08-27 09:47:48

기사수정
  • 신규 주문 즉시 적용
Cleveland-Cliffs of USA(CLF)는 24일 모든 탄소강 열연, 냉연 및 도금강판 등 철강 제품의 현물 시장 기준 가격을 톤당 최소 $75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북미 신규 주문에 즉시 적용된다.CLF는 AK스틸과 아르셀로미탈의 미국 자산을 잇달아 인수해 미국 제3위 철강사로 도약했다. 2021년 조강 생산량은 누코 2565만톤, US스틸 1630만톤에 이어 1630만톤(추...

회원(무료) 기사입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기사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회원가입 안내
  • 철강정보원 상단우측 회원가입
  • 연락처와 메일주소를 기입하면 알림톡(수시)과 뉴스레터(매일) 송부
  • 주소로 정기 간행물 등 송부 (추후)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1. [특집] ECB 금리 인하로 인한 철강 산업의 부양은 시간 필요 유럽중앙은행(ECB)의 첫 금리 인하가 단기적으로 유럽의 침체된 철강 산업을 회복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가들은 보고 있다.ECB는 6월 6일 오후 그 지배위원회가 주요 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하여 3.75%로 낮추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9년 이후 첫 인하이며, 4% 금리로 9개월 동안 유지된 기간을 끝내는 것이다. .
  2. [이슈] 미국 수입업체의 비용 상승 전망 예상치 못한 수요 급증이 글로벌 수입 물류를 복잡하게 만들어 미국 수입업체들의 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올해까지 글로벌 GDP 성장률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며, 기대 이상으로 지속되고 있다. 제조업 PMI도 거의 2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운송 공간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수요 증가 및 물류 영향수요 증.
  3. [초점] 전통적 비수기 6월에 하락할 수 있다 5월에는 거시 정책의 지속적인 지원과 초장기 특별 채권 발행, 대규모 장비 업그레이드, 노후 소비재 교체 정책 시행, 다양한 지역의 부동산 정책 최적화 등이 하류 수요를 다소 촉진하여 건설 철강 수요가 개선되었다. 2024년 5월 철강 산업의 PMI는 49.8%로 전월 대비 1.9% 포인트 상승하여 두 달 연속 상당한 증가를 기록했다. 이는 철강 산업이 .
  4. [이슈] EU의 철강 수입 보호조치 연장 결정에 대한 무역업자들의 우려 유럽연합(EU)이 철강 수입 26개 품목에 대한 보호조치를 2026년 6월까지 2년 더 연장하겠다는 제안이 무역업자들 사이에서 큰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분기별 쿼터 내에서 '기타 국가' 범주에 속하는 각 국가의 열연 코일과 철선봉 수입에 대해 15% 제한을 제안한 부분이 논란의 중심에 있다.열연 강판의 수출 제약 이 제안은 주로 열연 강판...
  5. [특집] 중국 철강 트레이딩에서 변화의 파도 초여름이 오면, 중국의 대도시들은 무거운 열기로 가득 찬다. 상하이의 아침 하늘은 잔잔한 듯 하지만, 그 아래에서는 수많은 산업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철강 산업은 더욱 거센 파도에 휩쓸리고 있다.국제 트레이더인 카길(Cargill)이 중국 내 철강 거래에서 철수한다는 소식은, 마치 한여름 폭풍우처럼 시장에 강한 충.
  6. [이슈] 미국 전기강판 및 변압기 공급 지연으로 건설 둔화 미국의 건설 산업이 전기강판 공급의 어려움으로 인해 둔화되고 있다. 미국 내 전기강판 생산 확대를 위한 투자 부족으로 인해 주거, 상업 및 제조 시설을 포함한 건설 계약자들이 전기 변압기를 확보하는 데 긴 지연과 불확실성을 겪고 있다.AGC(Associated General Contractors of America)의 수석 경제학자인 케네스 사이먼슨에 따르면, 건설 계약자들..
  7. [이슈] 해상물류 대란에 수출 길 막혀 글로벌 해상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3000선을 돌파하며 해상 물류 대란이 계속되고 있다. 5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SCFI는 전주 대비 12.63% 상승한 3044.77을 기록했다. 이는 8주 연속 상승세로, 지난 3월 29일의 1730.98과 비교하면 176% 급등한 수치다.운임 상승 배경주요 요인은 중국발 밀어내기와 홍해 사태의 장기화다. 중국 기업...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