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3일 중국 철광석과 철강 선물은 소폭이나마 상승했으나 석탄계는 하락했다. 현물 시장도 하락폭을 키우면서 좀 더 하락세가 커졌다. 남부지방 많은 호우의 영향으로 오늘 오전 철강시장 거래량이 계속 부진했다. 오후에는 선물 철강이 바닥을 찍고 반등하면서 일부 도시의 저가재의 거래가 조금 개선됐다.
주요도시 평균가로 보면, 철근은 20위안대 하락, 선재 열연 도금 강관이 10위안대 하락했으며, 후판 냉연이 한자리수 하락으로 선방했다.
Tangshan 빌렛의 공장도 가격은 4,660위안/톤으로 안정적이었다. 10개 제철소가 건설용 철강 가격을 20~100위안/톤 인하했다.
철강 선물 시장
철근 4670위안 0.3% 상승
열연 4767위안 0.29% 상승
철광석 823위안 0.98% 상승
코크스 3340위안 0.61% 하락
석탄 2574위안 1.47% 하락
철강 현물 시장
[건설용 강재] 전국 31개 주요 도시의 20mm 3급 내진 철근 평균 가격은 4,956위안/톤으로 전 거래일보다 21위안/톤 하락했다. 전지역에서 10-40위안 하락했다. 제남만 동가 유지했다.
단기적으로 현재의 시장 논리는 강한 거시적 기대에서 수요가 지배하는 약한 현실로 바뀌었다. 수요와 공급이 약한 상황에서 시장 심리가 여전히 불안정하고 원자재의 하락도 그 자리에서 일정한 견인력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다음 주 중국 건설용 철강재 가격은 좁은 범위 내에서 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열연 코일] 전국 24개 주요 도시의 4.75mm 열연 코일 평균 가격은 5,021위안/톤으로 전 거래일보다 14위안/톤 하락했다. 상해만 50위안 상승했고, 나머지 지역은 동가 또는 10-40위안 하락을 보였다.
현물 시장은 관망 분위기가 강하고 아침 거래에서 혼재된 결과가 나타났다. 정오 쯤 선물이 강화됨에 따라 거래자들의 가격 지지 감정은 수용할 수 있지만 거래는 개선되지 않았다. 생산량과 시중 재고는 증가하고 공장 재고는 감소하고 명목 수요가 소폭 반등했다.
수요 측면에서는 최근 선물의 반등으로 초기 단계의 지연된 수요의 일부가 점차 해제되어 시장 압력이 완화되었다. 전반적으로 국가 열연 코일 가격 범위는 가까운 장래에 변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냉연 코일] 전국 24개 주요 도시의 1.0mm 냉간 코일 평균 가격은 5,563위안/톤으로 전 거래일보다 6위안/톤 하락했다. 대부분 지역에서 동가 또는 10-20위안 하락했다.
선물 시장은 하락을 멈추고 반등했다. 대부분의 유통상은 여전히 주로 자금 순환 목적의 출하에 의존한다. 시장 호가는 주로 안정적이며 시장의 일부는 호가를 낮췄다. 전반적인 거래가 향상되었다.
시장 측면에서 화동 소비 시장은 여전히 전염병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자원 순환이 여전히 상대적으로 열악하며 소비 회복이 상대적으로 더디다. 또한 남쪽은 최근 홍수 시즌에 진입하여 시장 수요가 지연 될 수 있어 유통은 더 신중해졌다. 대체로 다음주 전국 냉연코일 가격이 좁은 범위 내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후판] 전국 24개 주요 도시의 20mm 일반 후판 평균 가격은 5,229위안/톤으로 전 거래일보다 7위안/톤 하락했다. 절반 정도의 지역은 동가 유지했으나 나머지 지역은 10-20위안 하락했다.
선물 추세는 소폭 상승하고 시장 비관론은 소폭 완화되었으며 시장 거래 분위기는 일반적이었다. 거래 측면에서 최근 시장 가격이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다운스트림 구매는 관망하는 태도가 강하다. 전반적인 시장 수요 성과가 좋지 않다. 제철소의 경우 이번 주 제철소 조업률은 81.54%로 전주와 변동이 없었고, 제철소 설비 가동률은 90.40%로 전주 대비 0.52% 감소했다.
시장 가격은 좁은 범위에서 떨어졌고 제철소는 생산을 시작할 힘이 부족했다. 전반적으로 현재 후판 시장의 펀더멘털 성과가 안 좋아 가격 상승 여력이 저해되고 있어 다음 주 후판 가격이 약세 등락할 가능성이 예상된다.
원자재 및 연료 시장
[고철] 전국 45개 주요 시장의 고철 평균 가격은 3,300위안/톤으로 전 거래일보다 3위안/톤 하락했다.
철강 밀은 원자재 구매자를 위한 새로운 가격 인하 라운드를 시작했으며, 특히 중국 동부에서 가격을 가장 많이 인하하고 수익을 내지 못한 전기로 제강사의 수가 많아지면서 고철 가격이 압박을 받고 있다. 현재 전염병 및 기상 요인의 영향으로 다운스트림 철강 수요를 방출하기 어렵고 시장 심리가 약하며 철강 가격이 범위 내에서 변동할 수 있다.
[철광석] 산둥성 수입 철광석 현물 시장 가격이 상승세를 보였다. Shandong은 Qingdao Port PB 분광은 935위안에 거래되고 있다.
[코크스] 시장은 약세였다. 이번 주 생산 지역 코크스 기업은 생산 개시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축적된 재고를 보유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압박은 크지 않고 대부분이 주로 출하 활동을 하고 있다. 제철소의 경우 2차 코크스 가격 인하가 기본적으로 시행되어 시장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철강 시장 전망
이번 주 247개 제철소의 고로 제철 가동률은 88.28%로 전월 대비 0.53% 증가했으며, 85개 독립 전기로 제철소의 평균 가동률은 67.05%로 전월 대비 2.57% 감소했다.
이번 주 전국 독립 EAF 제철소의 가동률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주요 요인은 원자재 가격이 여전히 높고 원가가 계속 하락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독립 전기로 공장이 수익을 못내는 상태에 있어 생산 시간 및 생산량을 줄이거나 생산을 아예 중단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생산능력이 저하되고 가동률이 저하된다.
다음 주 상황으로 보면 제조사들은 많은 손실을 입게 되고 단기간에 수익을 회복하기 힘들고 당분간 감산이나 셧다운 상태를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음 주에는 독립 전기로 설비의 가동률이 계속해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남부지방의 많은 지역에 폭우가 내리면서 이번 주 철강 수요가 크게 위축됐다. 유통상 2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번 주 건축자재 일평균 거래량은 14만톤 이상인 반면, 첫 2주간의 수준은 16만톤 이상을 유지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전염병 예방 및 통제 상황이 점진적으로 개선됨에 따라 다음 주에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며 전기로 제강사의 손실 및 생산량 감소와 함께 수급 압력이 점차 완화될 수 있다.
단기적으로는 수요 성과가 부진하고 시장 심리가 약하고 철강 가격이 여전히 약한 조정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 수요가 조금만이라도 회복되면 철강 가격은 여전히 반등할 여지가 있을 수 있다.
철강정보원에 게재된 원본 및 재인용 내용은 의사 결정을 위한 제안이 아닌 참고용입니다. 원본 내용의 저작권은 철강정보원 및 원저자에 있으며, 재인용 시에는 철강정보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일부 재인용된 내용은 더 많은 정보의 전달과 철강 지식의 확산, 의사 소통의 원활함을 위한 것입니다. 철강정보원은 모든 인용의 견해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며, 내용의 정확성과 무결성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부주의로 저작권을 위반한 경우 연락 바랍니다. 확인 후 저작권 소유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관련 콘텐츠를 즉시 수정 또는 삭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