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선물] 중국 철강 선물, 다소 하락세 보이며 안정적 경제 활동의 둔화 반영
  • 김규성
  • 등록 2024-05-13 07:32:50

기사수정
중국의 주요 철강 선물이 지난 금요일 대부분 하락했다. 철강 제품의 재고가 증가하고 소비자들의 재고 보충 활동이 둔화됨에 따라, 철강 가격은 일부 감소세를 보였다. 상해선물거래소(SHFE)에서는 철근과 열연코일(HRC) 선물이 각각 톤당 7위안(약 1달러), 1위안(약 0.14달러) 하락했다. 한편, 대련상품거래소(DCE)에서는 코크스 석탄 선물이 톤당...

본 기사는 유료회원 기사입니다. 유료회원 가입하시면 전문 열람이 가능합니다.

유료회원가입

회원가입 안내
  • (무료) 회원가입과 동일 방법으로 가입
  • 전화나 메일로 유료회원 가입 의사 통보
  • 1구좌 (아이디) 월 2만원, 법인구좌 5만원 (4구좌) / 10만원 (10구좌)
  • 매일 알림톡과 뉴스레터 송부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1. [이슈] 유럽연합(EU), 열연 및 선재의 잔여 할당량에 국가별 상한 적용 최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철강 세이프가드 조치에 중요한 변화를 도입했다. 새로운 조치에는 HRC(열연코일) 및 선재의 잔여 할당량에 국가별로 15%의 상한을 두고, 자유화율을 1%로 축소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EC는 2024년 7월 1일부터 적용되는 철강 세이프가드의 변경사항을 WTO에 통지하며 2026년 6월 30일까지 이 조치를 연장할 것을 제안.
  2. [특집] 중국의 새로운 도시화가 철강 소비를 촉진하다 중국 재정부는 주요 국가 전략을 지원하고 핵심 분야에서의 보안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20년, 30년, 50년 만기의 초장기 특별 국채를 발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Mysteel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국채는 여덟 개 부문에 걸친 이니셔티브를 지원할 것이며, 그 중 하나는 새로운 도시화 촉진이다.2024년 5월 17일, 중국은 30년 만기의 초장기 특..
  3. [초점] 재고 압박으로 인한 중국 냉연코일 가격의 침체 2024년 5월을 되돌아보면, 중국 주요 도시에서 냉연코일(CRC)의 가격 변동은 톤당 100위안 이내였다. 현물 가격의 변동이 너무 작아 시장은 활기를 잃었으며, 거래량도 4월에 비해 어느 정도 감소했다. 이는 노동절 휴일로 인한 근무일수 감소와 시장 거래 분위기의 부진 때문이다. 현재 철강 업체들이 높은 공급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시장의 재.
  4. [특집] 2024년 중국 철강 생산 통제 정책 지속 최근 중국 철강 산업의 상황은 급격한 변화와 불확실성으로 가득 차 있다. 중국 정부의 철강 생산 통제 정책은 전 세계 철강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려는 중국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2024년에도 중국의 철강 생산 통제 정책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여러 철강 전문.
  5. [특집] 인도, 철강 생산 증가로 스크랩 경쟁 심화 예상 인도의 철강 스크랩 수입량이 2024-25 회계연도(FY'25:24.4-25.3)에 약 30% 이상 감소해 약 7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 회계연도의 1,000만 톤 대비 큰 폭의 감소다. 분석에 따르면 이는 고철 및 직접환원철(DRI) 생산 증가 때문으로 나타났다.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고철을 원료로 사용하는 비율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FY'24에 비...
  6. [초점] 미얀마의 철강 수요 증가와 수입 제한 미얀마의 건설용 철강 수요가 공공 및 민간 건설 활동과 함께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철강 생산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수입 제한이 철강 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최근 베트남에서 열린 동남아시아 철강협회 회의에서 이해했다.도로 및 교량을 포함한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건설부와 전력부는 이러한 프로젝.
  7. [특집] MENA 철강 컨퍼런스 보고서: 2024년 지역 철강 소비 전망 5월 20-21일 무스카트에서 열린 MENA 철강 컨퍼런스에서는 2024년 지역 철강 소비의 증가가 예상된다고 강조했습니다. 글로벌 경제 및 지정학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MENA 지역은 건설 산업을 주축으로 한 강력한 소비 전망 덕분에 철강 시장에서 매력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철강 소비 동향2023년 성과: MENA 지역의 철강 소비는 2.2% 감소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